전체메뉴tel
모나리자 터치 클리닉피임생리클리닉초음파클리닉성인백신클리닉
자궁/난소질환
이화와 함께라면 부인과 진료도 편안해 집니다.

난소 낭종

아무리 살을 빼도 배가 안 들어간다고요? 혹시...

난소는 난자가 성숙해서 배란되는 곳이며, 호르몬을 생산해 분비하는 곳으로 사춘기 이후 갱년기까지 끊임없이 활발한 활동을 하는 곳 입니다. 따라서 난소에서는 주기적으로 어느정도의 혹이 생기고 소멸하는 과정이 되풀이 됩니다. 난소에 발생하는 혹의 80%는 이 복잡한 과정 중 소멸되지 않는 것들이 발견되는 것들로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생식세포의 발달이상에 의한 기형종이나 생식세포 종양이 신생아에서부터 20대 초반까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들 중 일부는 악성 종양입니다. 또한 난자의 성숙과 배란이 반복되며 만들어낸 충격과 손상이 성인기 이후의 상피성 난소암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난소는 그 크기가 메추리 알 정도로 작고, 손이 닿지 않는 골반 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증상이 늦게 나타나고, 증상만으로는 원인을 찾기 힘들 때가 많습니다. 배가 너무 더부룩하고 불러오거나 아랫배의 통증이 있는 경우 여성은 우선 산부인과적인 원인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골반 초음파검사를 통해 난소와 난관의 건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난소에 혹이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혹의 크기와 모양, 환자의 연령 등을 고려해 치료의 방침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궁근종, 선근종

애기집의 반란

자궁 근종은 자궁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세포가 증식해서 생기는 양성 혹 입니다. 선근증은 자궁의 근육세포가 아닌 내막세포가증식해서 자궁 전체가 혹처럼 변하는 것을 말 합니다. 자궁에서 근종이나 선근증 같은 양성 혹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주로 여성호르몬의 작용이 활발한 30-45세 사이에 잘 생기고 폐경 이후에는 발생이 드문 것으로 보아 여성호르몬의 자극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가임기 여성의 약 20-30%정도가 근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흔하지만, 근종의 크기와 자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있기도 하고 증상 없이 수년간 숨어있기도 합니다. 많은 경우 무증상인 상태로 초음파에 우연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근종이 저절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 크기나 위치가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라면 정기적인 검진만으로 충분합니다.


자궁근종을 치료해야 하는 경우


자궁근종의 치료법

자궁근종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은 전자궁 적출수술입니다. 그러나 아직 출산 계획이 남아있거나 자궁의 보존을 강하게 원하는 경우에는 자궁을 들어내는 수술을 쉽게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궁을 보존하면서 근종만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약물치료요법으로 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치료 후 재발률이 높고 치료 중의 부작용으로 근본적인 치료보다는 수술적 치료 전에 보조적 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복해서 근종만을 절제하거나, 복강경을 이용해 근종을 제거할 수 있으며,경우에 따라 근종 용해술을 이용해 자궁 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시술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시술들은 근본적으로 근종을 제거하는 것은 아니지만 근종으로 인한 압박감이나 통증, 과다한 월경 출혈 등의 증상을 완화시켜 자궁을 적출하지 않고도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화 산부인과에서는 여성의 자궁을 필요 없으면 떼어도 되는 장기로 쉽게 치부하지 않습니다. 수술로 인한 통증과 자궁을 떼어 낸 후의 서운함을 함께 느끼기에 근종, 선근증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는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드립니다.


자궁 내막 증식증

자궁 내막 증식증은 생리로 배출되어야 하는 자궁 내막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두껍게 증식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여성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와 연관하여 발생하며, 비만이나 당뇨,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난소의 종양과 관련이 깊습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의 주된 증상은 불규칙한 월경 혹은 무월경, 비정기적인 질 출혈과 질 분비물 입니다. 그러나 증상만으로는 다른 자궁과 질의 염증성 질환과 구별할 수 없으며 이상이 반복되는 경우 골반 초음파로 자궁내막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자궁 내막 증식증은 자궁내막의 조직검사로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자궁 내막의 이상 단계 별로 치료방침이 정해져 있으며 이상도가 높은 경우 자궁 내막암으로 진행 할 위험성이 높아 수술로 자궁을 제거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상도가 낮은 경우 호르몬 치료로 자궁 내막을 안정화 하고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경부는 분만할 때 태아가 열고 나오는 자궁의 입구 입니다. 사춘기 이후 여성호르몬이 분비되면 자궁경부를 이루는 세포가 자극을 받아 위치와 형태가 성인여성의 것으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이 부위의 세포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가장 취약한 주된 감염 부위가 되고 지속적인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 있을 경우 자궁경부 이형성증 단계를 거쳐 자궁 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즉 자궁경부 이형성증은 방치할 경우 자궁 경부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암단계 입니다.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사는 자궁경부의 세포가 이상을 보이는 단계 즉 이형성증 이하의 단계에서 자궁경부암을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자궁경부 세포검사에서 염증이나 이형성증을 발견하게 되면 간단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자궁경부 세포 이상을 치료한 후에는 3~6개월의 간격으로 세포검사를 반복하고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권합니다.

네이버까페네이버블로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5-2 분당클리닉 3층
TEL. 031-710-9670 FAX. 031-710-9699
Copyright@ baylorewha. All Rights reserved.

pc버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