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는 수정란의 착상을 위해 두꺼워진 자궁의 내막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입니다. 한달에 한번씩 일어난다고 해서 월경이라고 부릅니다.
뇌하수체에서 보낸 신호를 난소에서 받아 그 명령대로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estrogen)과 황체 호르몬(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을 만들어 냅니다. 자궁의 냄가은 난소에서 생산하는 호로몬의 주기에 따라 재생과 탈락을 반복해 생리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생리는 질에서 출혈이 일어나는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머리속의 뇌하수체와 배 속의 난소, 자궁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일련의 복잡한 현상입니다.
이 호로믄의 변화 주기에 따라 식욕이나 성욕 같은 정신활동, 유방과 피부변화, 염증과 상처의 재생 등의 신체 증상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뼈와 근육, 혈관과 몸 속의 지방대사까지 광범위한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월경이상의 종류
- 적정연령이 되어도 생리가 생기지 않거나 폐경 연령 이전에 생리가 중단되는 상태
- 골반이나 유방의 통증과 연관된 생리통, 생리주기와 연관한 과다한 정신활동의 변화를 포함한 월경곤란증
- 다음 시작일을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한 생리, 주기가 40일 이상으로 길어지는 희발 월경 및 무월경, 생리 주기가 25일 이하로 짧아지는 빈발 월경 등의 생리주기의 이상
- 생리량이 과다하게 많거나 적어서 문제가 되는 생리 기간과 생리 량의 문제
생리이상을 치료해야 하는 이유
- 심한 생리통은 자궁의 근종이나 선근증, 불임의 원인이 되는 자궁 내막증과 연관이 있으므로 임신 능력이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를 확인하고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 식욕의 이상이나 우울증상으로 인한 학습 및 사회활동의 장애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한 여드름, 다모증, 색소침착 등의 미용상의 문제가 감소합니다.
- 생활에 장애가 될 정도 혹은 빈혈이 생길 정도의 생리량을 약물 치료 혹은 수술적 치료로 감소시켜 월경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 심혈관계와 뼈의 성장과 충실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기에서부터 월경주기 이상을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생리이상의 치료
생리 이상은 난소의 주기를 조절해주는 뇌하수체나 난소 자체의 활동성에 의해 발생하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스트레스나 질병, 비만과 영양 실조등 다양한 신체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월경의 이상을 교정하는 방법도 단순히 호르몬제 혹은 피임약을 복용하여 단순히 주기를 맞추어 주는 일뿐 아니라 잠재되어 있는 다른 문제를 파악하고 교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